글로벌 의류 브랜드 생산기지 터키의 섬유산업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한인회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448
본문
- FDY, POY 등의 저가 섬유 수요가 많은 시장 - - 수요 대비 생산 설비와 기술 부족하여 수입 수요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저가 섬유가 주를 이루는 터키 시장
터키는 섬유 수출 세계 8위 국가로 수출 규모는 82억 달러에 달하며, 수입 규모는 85억 달러이다. 터키의 섬유 시장은 원사, 원단 등을 수입해서 섬유와 의류 등으로 가공하여 재수출하는 가공무역의 형태를 띠고 있다. 터키 내수용 의류는 저가 섬유를 주로 사용한다. 면, 면과 합성섬유 혼방, 인조 단섬유(FDY, POY, DTY, NYLON 6) 등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타국 대비 의류 가격이 저렴한 편에 속한다. 뿐만 아니라 수출용 의류도 유럽이나 미국의 일반 소비자용이 주 타깃인 제품을 생산하며 면, 울, 레이온 소재나 이러한 소재의 혼방 원단을 사용한다.
기능성 합성섬유를 사용한 의류는 가격이 높아 내수용으로는 판매 비중이 매우 낮다. 수출용 의류 역시 기능성 합성섬유를 사용한 것의 비중은 높지 않은 편이며 기능성 스포츠 웨어, 스포츠용 언더웨어 등으로 미국이나 일부 서유럽 국가에 수출되고 있다.
글로벌 브랜드의 영향으로 리사이클 원단과 천연소재에 대한 관심 증가
ZARA, H&M, Adidas 등의 글로벌 브랜드는 세계 각지에 제봉 업체와 협력해 자사의 의류를 위탁생산(OEM)을 진행하고 있다. 터키의 원단 업체 S에 따르면 글로벌 브랜드들이 환경 보호와 자원 재활용 차원에서 리사이클 원단과 천연소재를 기반으로 만든 원단을 선호하고 있다. 실제로 ZARA, MANGO, H&M 등의 브랜드는 자사 홈페이지 및 쇼핑 애플리케이션 상단에 리사이클 원단 전문 카테고리를 만들어서 리사이클 원단으로 만든 의류만 전문으로 판매하기도 하고 의류에 부착한 태그에도 리사이클 원단 정보를 기재하고 있다. 이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