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기업 소식

광고성 스팸 게시물로 인해 금지 단어들을 강화하였습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금지단어로 인해 글이 게시되지 않을 경우 [1:1 문의]나 관리자에게 문의해 주시기를 부탁 드립니다.


터키, 시진핑 면전서 ‘중국판 사드’ 퇴짜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한인회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터키, 시진핑 면전서 ‘중국판 사드’ 퇴짜

터키가 ‘중국판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로 불리는 장거리 방공 미사일 시스템 훙치(紅旗)9 수입을 포기했다. 

15(현지시간) 터키 국영 아나돌루통신은 익명의 정부 관계자 말을 인용해 “터키 정부가 34억 달러( 3 9800억원) 규모의 훙치9 수입 협상을 포기하고 자체 개발하기로 했다”면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이 이번 주 안으로 국내 업체와 계약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미사일 시스템을 팔기 위해 6년 동안 공을 들인 중국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세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터키에서 에르도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일대일로(육·해상 실크로드) 건설에 적극 협력하기로 합의한 지 하루 만에 현지에서 협상 포기 소식을 접해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회원국인 터키는 2009년 장거리 방공시스템을 도입하겠다고 발표한 뒤 경쟁 입찰을 실시했다. 이후 2013년 중국의 훙치9를 개발한 중국정밀기계수출공사(CPMIEC)를 우선협상대상자로 결정했다.

훙치9는 저렴한 가격과 기술 이전 혜택으로 미국 패트리엇 미사일을 제쳤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나토 동맹국들은 중국산 미사일 방어망이 도입되면 나토의 무기 체계에 일대 혼란이 발생할 것이라며 터키를 압박해 입찰 결과를 취소시켰다. 미국도 CPMIEC가 북한, 이란, 시리아 등에 미사일 기술을 수출해 왔다는 점을 들어 불만을 표시해 왔다. 

하지만 지난 7월 에르도안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했을 때 시 주석이 집요하게 설득해 다시 계약이 성사 단계에 이르렀다. 협상이 종료된 정확한 이유는 확인되지 않았지만CNN은 “중국이 핵심 기술 이전에 난색을 표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중국 언론들은 “나토 동맹국들의 압박 때문”이라고 의심했다.

터키의 구매 포기는 양국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양국은 중국의 위구르족 탄압으로 껄끄러운 관계였으나 에르도안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계기로 겨우 관계를 회복했다. 중국 입장에서 터키는 유럽으로 가는 관문이자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핵심 거점이고 미국을 견제하는 중요한 축이다.



서울신문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861 / 1 Page
번호
제목
이름